반응형 💻 Development/Git, GitHub2 [230804] Chapter1 맥에서 터미널로 Git 관리하기 *해당 문서는 정보전달의 목적이 아닌 한빛미디어 를 공부하고 남긴 기록입니다. 저의 주관적인 해석과 오류가 들어가있을 수 있습니다! [ 오늘 알게 된 내용 정리 ] 0. 관리할 폴더에서 터미널 열기 1. git init - 프로젝트 폴더 안에 .git 파일 생성 - Git 초기화 과정임 -> 이 이후부터 버전관리 가능함! 2. git commit 해보기 commit : Git에서 생성된 각각의 버전 / 커밋한다 = 버전을 생성한다 2-1. git 계정등록 버전관리를 위한 정보 등록 명령어 git config -global user.email "jyp.dsgn@gmail.com" git remote add origin 깃레포주소 4. git branch -M main : 브랜치 이름짓기 5. git pus.. 2023. 8. 4. [230802] Chapter 2-3(72pg) ~ Chapter 3(ing) *해당 문서는 정보전달의 목적이 아닌 한빛미디어 를 공부하고 남긴 기록입니다. 저의 주관적인 해석과 오류가 들어가있을 수 있습니다! Chapter 2-3 1. 커밋은 델타가 아니라 스냅샷 커밋? : 코드의 변경사항을 묶어서 하나의 덩어리로 만드는것, 시간순으로 쌓임 SubVersion Git 이전 버전에서의 차이점만 저장 - 버전을 관리할 때 바뀐 횟수만큼 모두 계산 필요 변경된 파일을 모두 저장함 - 바로 앞에서 바뀐 커밋과 비교하는 계산 1번 필요 - 바뀌지 않은 파일은 이전 파일의 링크만 저장 -> 용량도 적고 계산하지 않아도 된다. - 소스트리에서 기존의 커밋과 차이점만 보여요! -> Git에서 자동으로 앞뒤 커밋을 비교해서 차이점만 계산해서 보여줌 2. Git으로 관리하는 파일의 4가지 상태 U.. 2023. 8. 4. 이전 1 다음 반응형